📍 서울시 거주
🌐 https://www.notion.so/Hye-Soo-Kim-2246cab8ac8f80718e3ef2754aa97c67
🇰🇷 Korean (한국어)
🇬🇧 English (영어)
<aside> <img src="/icons/cactus_orange.svg" alt="/icons/cactus_orange.svg" width="40px" /> Research Interest: Digital Communication, Diversity, Media Psychology
</aside>
My research interests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wo areas:
Digital Communication
• I am interested in the processes of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or between people and media, mediated by digital platforms. I have applied various media and psychological theories, such as the Big Five Model, Flow Theory, Innovation Resistance Model, and Self-Congruity Theory.
• My work focuses on understanding human behavior within digital communication contexts such as YouTube channel subscription, subscription cancellation of OTT services, and binge-watching.
Diversity
• I have a strong interest in the concept of media diversity, particularly content diversity as theorized by Philip Napoli.
• I am also committed to studying marginalized and underrepresented groups in society. My research has explored topics related to migrants, North Korean defectors, and gender, often in connection with digital communication.
저의 연구 분야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O 디지털 미디어를 매개로 하여 사람과 사람, 또는 미디어와 사람이 소통하는 과정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미디어/심리학 이론을 적용해 왔습니다. (ex. Big Five Model, Flow Theory, 혁신저항모델, 자아일치성 이론)
O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인간의 행동을 탐구하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유튜브 채널 구독, OTT 서비스의 구독 해지, 몰아보기 행동 등을 깊게 탐구해 왔습니다.
다양성
O 미디어 다양성의 개념에 큰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나폴리의 콘텐츠 다양성(content diversity)에 기반한 연구를 진행해 왔습니다.
O 사회에서 소외되는 약자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이주민, 탈북민, 젠더를 디지털 커뮤니케이션과 연결지어 연구해 왔습니다.
[1] Kim, H.-S., Lee, B. M., & Lee, J. (Forthcoming). How Are North Korean Defectors Addressed in South Korean Society on YouTube Comments? (Korea Journal, A&HCI, Accepted) [1st author]
[2] 김혜수, 최선희, 유한별, 이헌율 (2024).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유튜브 이용을 통한 이주국 정체성 만들기와 출신국 정체성 유지하기. <한국방송학보>, 38권 5호, 5-53. 10.22876/kab.2024.38.5.001 (KCI) [1st author]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934628
[3] 김혜수, 이보미 (2023). 청년층의 유튜브 채널 구독 만족도 연구: 영향 요인 및 이용 장르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3권 11호, 474-485. (KCI) [1st author]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615711
[4] Kim, H.-S. & Lee, B. M. (2023). How Do OTT Users Understand Binge-Watching?: Deep Understanding through In-depth Interviews in Korea. <한국소통학보>, 22권 4호, 7-47. (KCI) [1st author]
https://m.earticle.net/Article/A438581
[5] 김혜수, 이보미, 최선희 (2023). 뉴스 리터러시 예측 요인 연구: 저널리즘 요인을 중심으로. <미디어 경제와 문화>, 21권 3호, 179-217. (KCI) [1st author]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502443
[6] 이보미, 김혜수, 이헌율 (2023). 구독 동기와 성격 5 요인이 유튜브 채널의 구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방송통신연구>, 123호, 104-141. (KCI) [co-author]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481386
[7] 김선미, 김혜수, 김도희, 이헌율 (2023). 국내 OTT 플랫폼 경쟁력 제고와 해외 진출에 대한 정책 델파이 분석 연구. <방송통신연구>, 123호, 7-44. (KCI) [co-author]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481382
[8] 이보미, 김혜수* (2023). OTT 서비스의 이용자는 왜 구독을 해지하는가? : OTT 서비스의 구독 해지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118호, 183-217. (KCI) [corresponding author]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396704
[9] 김혜수, 김성태 (2022). OTT 콘텐츠 시청 요인과 몰아보기에 관한 연구: 플로 (flow) 의 매개 효과를 주목하며. <한국방송학보>, 36권 5호, 48-82. (KCI) [1st author]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140627
[10] 김혜수, 김성태 (2022). 유튜브 이용 지속성과 저항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성격 5 요인과 혁신 저항 모델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30권 3호, 117-145. (KCI) [1st author]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251791
[11] 이보미, 김혜수, 정용국 (2021). 유튜브 이용자의 구독 채널 수와 구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권 11호, 100-111. (KCI) [co-author]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669653
[12] 김혜수, 김성태 (2021). 외국인 이주민의 한국 웹드라마 수용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2030 베트남 이주민을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48호, 113-145. (KCI) [1st author]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28657418
[1] 김혜수 (2025).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최우수논문상
[2] 김혜수 (2025). KU Achievement Award. 고려대학교 대학원.
[3] 김혜수 (2024).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봄철 학술대회 우수논문상
[4] 김혜수 (2023). 고려대학교 대학원 우수논문상
[5] 김혜수 (2022). 현대홈쇼핑-한국언론정보학회 대학원생 피칭세션 우수연구기획상
[6] 김혜수, 최선희 (2022). 2022 한국언론정보학회 봄철정기학술대회 신진학자 연구기획상 우수상
[7] 김혜수 (2022). 현대홈쇼핑-한국언론정보학회 신진학자 연구기획상 우수상
[8] 이보미, 김혜수 (2021). 한국언론정보학회 가을철학술대회 신진학자 지원사업 연구기획상 우수상
[9] 김혜수 (2020).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가을철 학술대회 우수논문상 <대학&대학원 세션>
[1] 연합뉴스 (2023, 5, 7). '몰아보기'도 OTT 구독 해지 원인…"볼 콘텐츠 없어져".
https://www.yna.co.kr/view/AKR20230503110900017
[2] 펜N마이크 (2023, 5, 7). '몰아보기'의 역설...OTT 구독 해지 원인 "콘텐츠 바닥". https://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63351
[3] 매일경제 (2023, 5, 7). '몰아보기'도 OTT 구독 해지 원인…"볼 콘텐츠 없어져". https://stock.mk.co.kr/news/view/113976
[4] OTT Ranking (2023, 5, 8). OTT 몰아보기, 구독 해지의 원인?. https://kr.ottranking.com/news/2023/05/211531/
[5] 서울 STV 뉴스 (2023, 5, 8). OTT 구독 해지, 왜? '습관적 이용' '서비스 불만족' '플랫폼 특성' '몰아보기' 등 다양한 이유. https://www.stv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8378
[6] 아시아경제 (2023, 10, 2). 최대 히트작 '무빙' 뜨자…넷플 이어 디즈니+도 계정 공유 단속. https://www.asiae.co.kr/article/2023100218124726358
[7] 스트레이트뉴스 (2023, 5, 7). 낮아지는 OTT 구독율…몰아보기 영향 커. https://www.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9812
[8] 아시아경제 (2023, 5, 7). “더 볼 게 없어”…‘몰아보기’가 OTT 해지 부추긴다. https://view.asiae.co.kr/article/2023050716462917819
PhD. Media and Communication,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미디어학과 박사)
2025.08.25.
Title of Dissertation: 국내외 OTT 드라마의 콘텐츠 다양성 비교 연구: 장르 전략과 젠더 재현을 중심으로
Content Diversity in Domestic and Global OTT Dramas: Focusing on Genre Strategies and Gender Representation
[1] 이헌율, 김선미, 김혜수, 김예빈 (2023). 2023 해외 영상물 등급분류 제도 현황 실태조사. 영상물등급위원회
과제 기간: 2023.03.20. - 2023.08.21.
Board.do?mode=view&board_seq=31622&mgr_seq=5&mCode=MN028
[2] 이헌율, 김선미, 김혜수, 김연정. 글로벌 콘텐츠, 방송, OTT 시장 현황 및 경쟁 양상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과제 기간: 2023.08.08. - 2023.11.07.
[3] 이헌율, 하주용, 김선미, 김혜수, 김도희 (2022). 국내 OTT 플랫폼 해외시장 진출 지원정책 방안. 방송통신위원회
과제 기간: 2022.09.01. - 2022.12.31.
[1] Kim, H.-S. (June 2025). Gender Representation in Korean Dramas: A Comparative Analysis of Netflix and TVING Content Across Genres. The 42nd International Visual Sociology Association Conference. Republic of Korea: Suwon.
[2] Kim, H.-S. & Lee, H-Y. (June 2024). Viewers' Perspectives on North Korean Defector YouTubers: Audience Interpre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YouTube Content. 74th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Australia: Goldcoast.
[3] Kim, H.-S., Lee, B. M., & Choi, S. (April 2023). Why Do OTT users Understand Binge-Watching?: Deep Understanding through In-depth Interviews. 11th Honours Symposium for Graduate Students in Communication Research. Taiwan: Hsinchu City.
[1] 김혜수 (June 2025). 문화권에 따른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장르 다양성 비교 연구: 영어권과 스페인어권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서울. [학문후속세대 최우수상 수상 논문]
[2] 김혜수 (June 2025).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의 장르 다양성 분석: 국가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미디어정책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군산시.
[3] 김미라, 김혜수 (Dec 2024). 정치 유튜브와 이용자의 자아일치성이 정서적 양극화에 미치는 영향: 충성도와 적대적미디어지각을 매개로. 한국정치학회 연례 학술대회. 서울. [운경재단 학술지원 선정논문]
[4] 김혜수, 이보미, 이재욱 (Nov 2024). 한국 사회에서 탈북민은 어떻게 호명되는가: 탈북 관련 저널리즘 영상 댓글 담론 분석.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서울.